제목 유리체(초자체) 출혈 조회수 13858

글자크기

유리체(초자체) 출혈

유리체란 안구의 약 75%를 차지하는 조직으로 젤리같은 투명한 조직입니다. 99%가 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이가 들면서 혹은 안외상이나 염증등의 원인으로 유리체가 액화되거나 수축하게 됩니다. 유리체 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는 망막이나 맥락막 혈관이 터져서 유리체내로 출혈이 되는 경우이며, 정상적인 혈관보다는 비정상적인 신생혈관에서 훨씬 쉽게 발생합니다. 비정상적인 혈관형성의 중요한 원인으로는 망막정맥폐쇄증, 증식당뇨망막병증, 망막혈관염, 맥락막신생혈관증 등 여러 가지 질환이 있습니다. 정상적인 혈관도 심한 안외상이라든지 망막에서부터 유리체막이 갑자기 떨어지는 경우나 망막열공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단 방법은 동공을 확대해서 검안경과 진단용 렌즈로 세극등을 통하여 시행하고 초음파를 통하여 유리체박리와 망막박리의 상태를 검사합니다. 특히 출혈로 망막상태가 정확하게 보이지 않을 경우에는 정기적으로 초음파검사를 통하여 망막 상태를 세밀히 관찰하여야 합니다.

유리체 출혈에 대한 치료 방법은 발생초기에는 약물이나 레이저 치료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유리체 출혈이 발생한 환자는 잠을 잘 때에 머리쪽을 높이 하고, 운동을 삼가 하고, 술을 마시지 말고, 더운 열탕에 들어가거나 사우나를 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러한 생활태도를 유지하심으로, 재출혈 발생을 최대한 예방하고 출혈된 상태의 혈액들도 빨리 흡수소멸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유리체 출혈은 일단, 일정한 기간동안은 흡수되기를 기다려야하며 일정한 기간이 경과한 후에도 흡수가 되지않으면 유리체 절제술을 시행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유리체 출혈이 열공성 망막박리를 동반하거나 섬유조직의 증식과 견인성황반부박리등이 있는 증식성 당뇨망막병증, 망막 조직의 증식이 동반되는 안외상에 의한 유리체 출혈등은 출혈이 흡수되기를 기다리지 않고 빠른 시일내에 수술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술적치료는 안내조명과 유리체절제기구를 사용하여 혼탁된 유리체를 제거하고 비정상적인 조직을 잘라내는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합니다. 유리체의 혼탁이 제거되면 빛이 망막에 도달하여 상이 맺히게 됨으로 시력이 회복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간혹 유리체 출혈에 대하여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한 후에 재출혈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술전보다 훨씬 빨리 흡수가 되지만 흡수가 잘 안되는 경우라도 유리체내의 출혈과 가스를 치환하는 액체가스 치환술을 통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유리체 출혈에 대한 수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차후에 대부분 형광안저촬영술을 시행하여 유리체 출혈의 원인부위를 확인하며, 필요에 따라 레이저 광응고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유리체 출혈이 있는 환자는 반드시 안과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정기적인 검진과 치료를 받아 실명이 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