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망막정맥폐쇄 조회수 12334

글자크기


망막정맥폐쇄

눈을 사진기구조로 비교한다면 망막은 필림에 해당하는 중요한 신경조직막으로서 그믈과 같은 모양으로 혈관들이 복잡하게 퍼져있습니다. 이러한 혈관중에 정맥혈관이 막힘으로 혈액순환장애가 발생하여, 혈액이 비정상적으로 혈관에서 빠져나와 출혈과 부종 등을 일으킨 경우를 망막정맥폐쇄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통증도 없이 한쪽 눈이 갑자기 잘 안보이는 증상으로 시작되며, 폐쇄된 망막정맥의 위치에 따라 중심정맥폐쇄 또는 분지정맥폐쇄 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망막정맥이 막히는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지만, 혈액순환장애를 일으키는 동맥경화증,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녹내장 등과 연계해서 발생하기 쉬우며,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더욱 흔히 발생하며, 특히 음주, 흡연, 과격한 운동, 홀몬약(예: 피임약)이나 이뇨제 복용 등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가. 망막분지정맥폐쇄

시야의 일부분이 잘 보이지 않게 되지만 황반부가 포함되면 중심시력이 상당히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아직까지 효과를 인정할 수 있는 특별한 치료방법은 없으며, 다만, 형광안저소견상 신생혈관 발생이 있거나, 황반부종이 심하여 중심시력이 상당히 저하되었을 경우에 한하여 레이저 광응고술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레이저치료후에 시력이 호전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지만, 반드시 모든 경우에 시력이 다 좋아지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더 악화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이외에도 스테로이드 및 항체주사가 황반부종을 개선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드믈게는 신생혈관이 파열되어서 유리체 출혈을 일으킨 경우에 유리체절제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나. 망막중심정맥폐쇄 
망막중심정맥폐쇄의 위치에 따라 표층부와 심층부로 나눌 수 있으며 시력저하정도와 망막소견, 형광안저소견 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망막중심정맥폐쇄는 시력장애뿐만 아니라 차후에 신생혈관에 의한 녹내장 발생이 가능하며 심층부형인 경우에는 표층부형의 경우보다 예후가 더 불량한 편입니다. 분지정맥폐쇄시와 마찬가지로 현재까지 특별한 치료법은 없으며, 다만 합병증발생가능성을 줄이기 위하여 레이저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범안저레이저광응고술은 신생혈관에 의한 녹내장 발생이 가능한 경우나 허혈상태가 심하여 신생혈관발생가능성이 높을 때에 실시하며, 안압조절이 충분히 잘 안되는 경우에는 녹내장수술을 시도하거나 녹내장용인공대롱을 삽입하여 안압조절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레이저치료를 받았다고해서 반드시 상태가 좋아지거나 합병증이 생기지 않는 것도 아니며, 그렇다고 현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위한 것도 아닙니다. 다만 천천히 나빠지기 위하여 레이저치료라도 받아보셔야한다고 이해하셔야 합니다. 신생혈관이 터져서 유리체 출혈까지 발생한 경우에는 유리체절제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여러종류의 치료방법에도 불구하고 결국에는 통증이 심하게 되어, 부득이 눈을 유지 못하게되는 불행한 경우도 있습니다.

 

예 방
일단 망막정맥이 폐쇄되면 뚜렷한 치료 방법이 없는만큼, 나머지 한 쪽 눈에도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에 힘써야 합니다. 눈뿐만 아니라 머릿속이나 심장과 같은 중요한 부위의 혈관이 막힌다면 더욱 심각한 손상이 초래될 것은 당연하므로 반드시 순환기와 혈액전문 내과 진찰을 받으셔서, 현재 갖고 있는 질환에 대한 진단과 치료는 물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약(예: 어린이용 아스피린 )을 사용하시거나, 금주, 금연, 음식, 가벼운 운동, 안압조절 등을 통하여 재발 방지에 철저히 대비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