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눈꺼풀 떨림증과 눈꺼풀 감김증 조회수 17491

글자크기

눈꺼풀 떨림증과 눈꺼풀 감김증(안검 경련증)

자기도 모르게 눈꺼풀이 떨리거나 눈꺼풀이 감기는 증상은 아직까지 원인도 모르며, 근본적인 치료 방법도 없습니다. 긴장을 할 때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는 있지만 긴장자체가 원인은 아니며, 신경을 쓰시는 것과도 직접 관계는 없으며 더군다나 정신병과 같은 상태는 절대로 아닙니다. 다만 머리속에 있는 눈감는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핵부위에서부터 눈꺼풀 근육까지의 경로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짐작하고 있습니다. 완치는 어렵더라도 생활하시기에 불편하지 않게 끔 효과적인 방법에 대하여 시도하여 볼 수 있습니다.

눈꺼풀 떨림증

눈꺼풀이 가볍게 떨리는 현상은 식사를 걸르거나 잠이 부족하여 피곤한 경우에 흔히 나타날 수 있습니다. 양쪽 눈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한쪽 눈의 아랫쪽이나 윗쪽 한 곳의 눈꺼풀에만 발생하는 경우가 더 흔합니다.
혈액중에 칼슘이나 칼륨성분이 부족하여 근육이 떨리기 때문에 발생한다는 설도 있기 때문에 영양공급을 충분히 하고 수면을 충분히 취하면서 시간이 경과하면 저절로 회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직까지 효과가 입증된 특별한 약이나 치료 방법은 없습니다.

눈꺼풀 감김증

눈꺼풀이 심하게 감기는 현상은 대부분 양쪽 눈에 동시에 발생하기 때문에 길을 걷다가도 앞이 보이지 않게 되어 더 이상 보행이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눈꺼풀을 억지로 벌리기 전에는 전혀 보이지 않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기능적으로는 실명상태와 동일한 장애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첫째, 눈감는 근육을 지배하는 머리속의 신경핵에서부터 눈꺼풀 근육까지 연결된 신경경로의 기능을 차단하여 주는 방법입니다. 신경안정제나 항경련성 약물, 근육이완제 등이 사용되지만 거의 효과가 없거나 일시적인 미미한 효과뿐입니다. 신경을 차단하여 주는 방법도 효과가 불완전하며 부작용 발생도 빈번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거의 시술되지 않습니다.

둘째, 눈꺼풀 감는 신경과 근육사이를 연결하는 부위를 차단하여 주는 방법입니다.
보툴리늠이라는 신경마비용 독물을 아주 약하게 희석하여 눈꺼풀에 주사하면, 약 3개월정도는 눈감는 근육이 마비상태가 유지되게 됩니다. 그 후 서서히 회복하여 효과가 없어지기 때문에 반복해서 주사를 맞으셔야만 효과가 유지될 수 있습니다. 눈이 잘 감기지 않게 되기 때문에 잠잘 때 눈을 뜨고 잘 수도 있으며, 세수할 때 눈알이 다칠 수도 있고, 눈꺼풀이 완전히 내려와서 더 뜨지 못하는 안검하수의 경우나 눈꺼풀이 바깥쪽으로 뒤집어지는 안검외반증의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시간이 경과하면서 이전 상태로 회복이 되는 가벼운 증상들이며, 심각한 합병증은 거의 없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좋은 방법입니다. 

부수적인 효과로 이마나 눈가의 주름살을 줄여주는 미용효과도 있습니다.

셋째, 눈꺼풀 감는 근육자체를 없애주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보툴리늠 방법으로 효과가 없거나 만족을 못하는 경우에 시도하여 볼 수 있지만, 수술방법이 복잡하고 어려우며, 장시간 소요될 뿐만 아니라 대부분 수술횟수도 두번에 나누어 하게됩니다 (일차로 양쪽 윗눈꺼풀수술을 하고 이차적으로 아랫쪽 눈꺼풀수술). 심각한 수술합병증들도 있을 수 있으며 외모상 문제점들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불완전한 수술효과를 보완하기 위하여 보툴리늠 주사를 추가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도 50%이상입니다.

얼굴 반쪽 떨림증(반면 안면 경련증)이란?

한쪽 눈주위와 동시에 입주위나 뺨에 있는 근육들이 반복적으로 수축하는 증상이며, 얼굴에 분포하는 신경이 주변에 있는 혈관의 박동으로 충격을 받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병변이 머리속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뇌수술로 치료될 수는 있지만 뇌수술의 합병증에 대하여도 신중히 고려하여야합니다. 보툴리늠 방법으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뇌수술을 피하는 경향이 많습니다.